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혈청 HBsAg 소실 후의 임상경과와 간암의 발생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2009 ; 15 : 383 - 390
DOI: 10.3350/kjhep.2009.15.3.383
<국외논문 논평(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Elsewhere)>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혈청 HBsAg 소실 후의
임상경과와 간암의 발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김 지 훈
Clinical outcomes and develop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HBsAg seroclearance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Yuen MF, Wong DK, Fung J, Ip P, But D, Hung
I, et al. HBsAg Seroclearance in chronic hepatitis B
in Asian patients: replicative level and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Gastroenterology. 2008;135:1192-1199.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Elsevier. Copyrightⓒ
2008 Elsevier. All rights reserved.)
초
록(Abstract)
Background & Aims: Our aims were to study
the virologic, histologic, and clinical outcome in
chronic hepatitis B (CHB) patients with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seroclearance. Methods:
We determined the age of HBsAg seroclearance that
i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 298 CHB patients (median fol-
low-up, 108 months). The following virologic and
histologic features were also determined: liver stiffness (n=229), liver histology, serum HBV DNA
levels over time (n=265), intrahepatic HBV DNA
with covalently closed circular DNA (cccDNA) levels,
and messenger RNA (mRNA) expression. Results:
The median age of HBsAg seroclearance was 49.6
years. Seven (2.4%) patients developed HCC. Cumulative risk for HCC was higher in patients with
HBsAg seroclearance at ages >50 years compared
with those with HBsAg seroclearance at ages <50
(P≥0.004) years. Of these 2 groups of patients,
29.5% and 7.9%, respectively, had significant fibrosis
by liver stiffness measurement (P=0.001), and 15.4%
of patients had mild histologic fibrosis. Intrahepatic
total HBV DNA and cccDNA were detected in 100%
and 79.3% of patients, respectively. All patients had
undetectable surface and precore/pregenomic RNA
transcripts. One (9.1%) patient had X mRNA expression. Serum HBV DNA were detectable in
13.4%, 6.1%, and 3.7% of patients within 1 year and
Key words: Chronic hepatitis B; HBsAg seroclearance; Hepatocellular carcinoma
󰁱 Abbreviations: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CHB, chronic hepatitis B; HBsAg,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LC, liver cirrhosis
󰁱 Corresponding author: Ji Hoon Kim, E-mail: kjhhepar@naver.com; Phone: 02) 2626-3011; Fax: 02) 2626-1038
주소: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길 97, 고려대학교구로병원 소화기내과 (우)152-703
- 383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15. No. 3. 2009
5~10 and >10 years after HBsAg seroclearance,
respectively, and 82.1% patients had persistently
normal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Conclusions: HBV persisted at low replicative and transcriptional levels after HBsAg seroclearance. HBsAg
seroclearance at age <50 years wa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for the development of HCC.
라인에서는 혈청 sAg의 소실을 B형간염 치료의
이상적인 종결 기준으로 기술하고 있다.8 하지만
급성 B형간염에서는 HBV에 특이적인 세포독성 T
세포의 폭발적인 발현과 증식으로 효과적인 면역
반응이 일어나고 수십 년까지도 지속되는 데 비해
만성 B형간염에서는 이러한 면역반응이 매우 적거
나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혈청 sAg 소실
의 임상적 의미는 급성 간염과 만성 간염 간에 상
논
당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9-12 그러므로
평(Comments)
만성 B형간염에서 혈청 sAg 소실을 B형간염의 치
만성 B형간염은 B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유로 간주하고 이를 치료종결 기준으로 사용하기
virus, HBV)의 급성 감염 후 6개월 이상 혈청 B형
위해서는 sAg 소실 후의 경과에 대한 다각적인 연
간염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구 결과들이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1
혹은 sAg)이 지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만성 B
만성 B형간염에서 혈청 sAg 소실의 빈도와 그 후
형간염에서 간세포의 손상은 HBV와 환자의 면역
의 생화학적, 조직학적, 바이러스학적 경과에 대해서
2
체계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이에
13-24
는 꽤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sAg 소실
13,14,16,17,25
대
따라 만성 B형간염은 면역관용기, 면역제거기, 비
후의 임상경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적고,
활동성기, 재활성화기의 역동적인 자연경과를 보
부분 대상 환자 수가 100명을 넘지 못해 전모를 파
3
인다. 특히 면역제거기 중에 연간 2~15% 정도의
악하는 데 부족함이 많았다. 최근 Yuen 등은 1980
B형간염 e항원(HBeAg)의 자연적인 혈청전환이
년부터 2006년 사이에 혈청 sAg이 6개월 이상 양
일어나면서 HBV DNA의 증식이 감소하고 혈청
성이었던 만성 B형간염 환자 8690명을 추적하여
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이 중 298명에서 sAg이 소실되었다고 보고하고,
ALT)치도 안정되는 비활동성기에 들어가며 그 중
이들에서의 검사 소견의 변화와 임상경과를 상세
히 분석하였다.26 이 연구는 현재까지의 관련 보고
2,3
일부에서는 sAg의 음전이 일어난다.
급성 B형간염의 경우 sAg의 혈청 내 소실과 혈
중 가장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시
청전환은 일반적으로 HBV의 제거와 임상적 치유
작 시 환자들의 나이의 중간값은 43.1세였고, 총 추
를 의미한다. 급성 B형간염 후 혈청 sAg이 소실되
적기간과 혈청 sAg 소실 후 추적기간의 중간값은
더라도 약 15% 정도의 환자에서는 sAg에 대한 항
각각 108.9개월, 36.4개월이었다. 본 논평에서는
체(anti-HBs)가 계속 음성이고, 수년 후까지 HBV
Yuen 등의 이번 연구와 기존 연구들의 결과를 함
4
DNA가 혈액 내에서 나타나며, 장기간 심지어 30
께 정리해 봄으로써 만성 B형간염에서 드물게 일
년이 지난 후에도 간조직에서 HBV DNA와 함께
어나는 sAg 소실 후의 다양한 임상경과, 특히 간
가벼운 염증 소견을 보인다는 보고가 있기는 하지
암의 발생 양상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5,6
만,
장기간의 경과 중 만성 B형간염에서와 같은
한다.
질병의 진행(즉 간경변, 간경변의 합병증, 간암의
만성 B형간염에서 혈청 HBsAg 소실률
발생)이 일어나는가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거의
3,7
없어 양호한 경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만성 B형간염에서도 급성 B형간염과
Yuen 등26의 연구에서 혈청 sAg의 연간 소실률
유사하게 혈청 sAg이 소실된 환자는 질병진행이
은 연간 0.13%로 이전 보고들과 유사하였다.27 만
극히 적을 것이라는 예상하에 최근 서양의 가이드
성 B형간염 환자에서 혈청 sAg의 소실은 수직감
- 384 -
Ji Hoon Kim. Clinical outcomes and develop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HBsAg seroclearance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염이 많은 동양에서는 연간 0.1~0.8% 정도로 일어
구는 없으나, 최근 연구에서 아데포비어를 사용한
나는 반면,2,14,24 감염이 주로 청소년기 이후에 일어
군에서는 sAg의 소실이 없었던 반면 테노포비어 1
13,16,28
나는 서양에서는 0.8~2.1% 정도로 좀더 높다.
년 치료군에서는 eAg 양성 환자에 국한되기는 하
또한 혈청 sAg의 연간 소실률은 연구 시작 시의
지만 sAg 소실률이 3%로 약제 간에 유의한 차이
간질환의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조직으로 만성
를 보고하고 있어 향후 장기 추적 연구의 결과가
간염이 확인된 환자에서는 0.5% 정도, 혈청 ALT
기대된다.32
치가 정상이고 조직에서 염증이 없는 환자에서는
0.8%,18 조직에서 간경변이 확인된 경우에도 0.8%
16
정도로 다소 높다.
혈청 HBsAg 소실 후 혈액생화학검사
HBeAg의 혈청전환을 보이는
소견의 변화
환자만 추적한 동양의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동양의
sAg 소실률보다는 다소 높은 1.15%까지 보고하고
Yuen 등26의 연구에서는 네 차례 이상 주기적인
있다.15 sAg의 혈청 내 소실과 연관된 인자로는
혈액검사를 받은 212명에 대해서 혈청 sAg 소실 후
HBeAg 음성, 연구 시작 시 나이(>40세 또는 >45
의 생화학검사 소견의 추이를 조사하였으며, 82.1%
세), 추적 시 간경변의 발생, 남자, 간염이 안정화
의 환자에서 ALT치가 지속적으로 정상이었고,
되어있는 경우에 유의하게 높은 sAg 소실을 기대
90.6%에서 80% 이상의 추적기간 동안 정상으로
15,17,18
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HBeAg
유지되었다. 추적기간 동안 한 번이라도 혈청 ALT
양성인 경우 혈청 sAg의 소실이 많았다는 연구도
치의 상승을 보인 38명(18%)의 환자들 중 7명을
16
있으므로,
분명한 예측인자에 대해서는 좀더 연
제외하고는 지방간, 한약, 간암 등의 다른 원인을
구가 필요하다. 혈청 내에서 sAg이 소실된 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최근의 엄밀한 정상치 기
26
anti-HBs 항체가 나타나는 혈청전환은 Yuen 등
준을(남자 <30 IU/L, 여자 <19 IU/L)33 적용하더라
의 연구에서는 51.7%에서 나타났다. 급성 B형간염
도 63.2%의 환자가 정상 ALT치를 유지함으로써
에서는 sAg의 혈청전환이 85% 이상에서 나타나지
만성 B형간염 환자는 혈청 sAg 소실 후 대체로 안
만 만성 B형간염에서는 anti-HBs 항체 역가가 10
정적인 생화학검사 소견을 유지하는 것으로 예상
IU/L 이하의 경우를 포함하더라도 31.4~52.4%로
된다. 이전의 보고들에서도 sAg 소실 후 ALT치는
17,18,29
다소 낮다.
다만 간경변 환자만을 추적한 경
76.4~100%에서 정상을 유지하였다.13,16,17,29,34,35
우에는 96%에서 sAg의 혈청전환이 일어났다는
보고도 있다.16 이전 연구들에서 혈청 sAg이 소실
15,25,29
되는 시기는 평균 44.8~48.8세였으며
혈청 HBsAg 소실 후 간조직 소견의 변화
Yuen
등26의 연구에서는 중간값이 49.6세였다.
Yuen 등26의 연구에서는 26명의 환자에서 혈청
sAg 소실 후 중간값 47.8개월 뒤에 조직검사를 시
항바이러스치료군에서 혈청 sAg의 소실률
행하였는데, 46.2%에서 지방간이 발견되긴 하였으
나 전체의 65.4%에서 전혀 염증이나 섬유화를 찾
만성 B형간염 환자가 인터페론 치료를 받는 경
을 수 없었고, 나머지도 경미한 염증과 섬유화가
우 받지 않는 경우보다 sAg 소실률이 더 높다고
있는 정도였다. 이전의 연구들에서도 혈청 sAg 소
30,31
알려져 왔다.
16
Fattovich 등 은 인터페론 치료를
실 후에 염증과 섬유화의 정도는 유의하게 감소하
받았던 환자군에서 1년과 5년 누적 소실률이 각각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34,35 다만 혈청 sAg의 음
4%와 10%로 무치료군의 1%와 4%에 비해 유의하
전 전 섬유화가 진행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전 후에
게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경구용 항바이러스제의
도 섬유화가 진행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4,34
치료 유무에 따라 혈청 sAg의 소실률을 비교한 연
Yuen 등26의 연구에서는 혈청 sAg 소실이 일어난
- 385 -
대한간학회지 제 15 권 제 3 호 2009
환자들에서 처음으로 transient elastography(Fib-
에 비해 유의하게 간암 발생률이 높았다. 7명 중 6
roscan; EchoSens, Paris, France)를 이용하여 간
명은 sAg 소실 1년 이내의 초음파검사에서 간경변
의 강성도(liver stiffness)를 측정하였는데, 그 값
의 양상을 보인 환자였다. 혈청 sAg 소실 후 복수
이 sAg이 소실된 나이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므
와 정맥류출혈 등 간경변증의 합병증이 처음으로
로 혈청 sAg이 빨리 소실될수록 간섬유화의 경과
발생한 환자는 5명이었고, 이들 중 4명은 50세 이
도 좋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후에, 1명은 47.6세에 sAg이 소실된 환자였으며, 3
명은 sAg 소실 후 1년 이내의 간강성도검사에서
간경변으로 진단된 환자였다.
혈청 HBsAg 소실 후 혈청 및 간조직 내
혈청 sAg 소실 후의 질병진행에 대한 이전 보고
HBV DNA의 변화
들을 자세히 살펴보면(표 1), 일찍이 Adachi 등은
26
Yuen 등 의 연구에서는 sAg 소실 후 혈청과 간
sAg 소실 환자 5명 중 3명에서 간암이 발생하였고,
조직 내에서의 HBV의 발현 정도에 대해서도 확인
그 중 두 명은 sAg 소실 당시 이미 간경변을 동반
하였다. 혈청 HBV DNA는 sAg 소실 1년 내, 5~
했던 환자라고 보고하였으며, Da Silva 등은 20명
10년, 10년 이후에 각각 13.4%, 6.1%, 3.7%의 환자
의 sAg 소실 환자에서 간경변의 합병증이나 간암
들에서 검출되었으며, 정량 값은 1.1~396.8 IU/L,
의 발생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13 하지만 이들의
1.6~169.5 IU/L, 53.6 IU/L였다. 검사 시기와 검사
연구는 환자 수가 적고 추적기간을 명시하지 않아
법이 상이하긴 하지만 이전 연구에서도 혈청 HBV
객관적인 예후예측 자료로는 미흡하였다. 이후 좀
DNA는 sAg 소실 후 0.9~37% 정도에서만 검출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보다 구체적인 자료들이
13,17,29,34,35
29
36
17
이번 연구와 Chen 등의 연
제시되었는데, Huo 등 은 간경변의 임상 소견이
구 결과로 미루어 혈청 HBV DNA는 sAg이 소실
없이 혈청 sAg이 소실된 환자들을 평균 23개월간
되고 나면 일부에서만 소량 검출될 뿐 이도 시간이
추적한 결과 55명 중 6명(10.1%)에서 간경변으로
지나면서 점차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일 것
진행하였고 1명이 비대상성 변화를 보였으며 11명
이다. 다만 일부 국내 연구에서는 60%까지 검출된
(20%)에서 간암이 발생하는 등 질병진행률이 33%
다고 하였고,
에 달하였다고 보고하였다. Fattovich 등은16 sAg
14
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간조직 내 HBV DNA는 혈청 sAg 소실
소실 시 간경변이 확인된 환자들을 55개월간 추적
후 간조직이 있는 29명 모두에서 검출되었으며
한 결과, 32명 중 6명(18.8%)이 비대상성 변화를
79.3%에서 cccDNA를 확인할 수 있었고, 정량 값은
일으키고 1명이 간암으로 사망하여 약 22%의 질병
각각 0.004~14.539 copies/cell과 0~1.536 copies/
진행률을 보고하였다. 그런데 이들 두 연구의 결과
cell 정도였다. 이전 연구에서도 간내 HBV DNA는
만을 놓고 보면 마치 혈청 sAg 소실 당시 간경변
혈청 sAg 소실 후 거의 대부분의 환자에서 검출된
이 없는 환자가 간경변이 있는 환자보다 예후가 더
14,35
나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두 연구는 혈청 sAg
다고 보고하고 있다.
소실 시의 환자의 나이, 간경변의 진단법, HCV 또는
HDV와 중복감염을 보이는 환자의 비율 등, 특성
혈청 HBsAg 소실 후 질병의 진행
이 서로 다른 코호트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
26
이번 Yuen 등 의 연구에서는 혈청 sAg이 소실
에 결과만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
된 298명 중 7명(모두 남자)에서 중간값 69.3세에
이에 Chen 등은 동일한 코호트에서 혈청 sAg
간암이 발생하여 중간값 36.4개월의 추적기간 동안
소실 시의 간경변 동반 유무에 따라 예후를 비교하
2.3%의 간암 발생률을 보였다. 특히 50세 이후에
였다.29 그 결과, sAg 소실 시 간경변이 없었던 군
혈청 sAg이 소실된 경우 50세 이전에 소실된 환자
에서는 sAg 소실 후 간경변과 간암의 발생 등 질
- 386 -
김지훈.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혈청 HBsAg 소실 후의 임상경과와 간암의 발생
Table 1. Summary of clinical outcomes after HBsAg clear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Status
at loss
Author
36
Number
(LC)
LC (±)
5 (2)
Da Silva
LC (±)
17
LC (-)
Fattovich16 LC (+)
Adachi
13
Huo
29
Chen
25
Prognosis
Co
Age at FU after
New DecomHCC
-infect* loss
loss (Mo)
LC pensation (initial LC)
0
3 (2)
Death
Any
0
3
0
45.8
NA
0
20 (6)
0
NA
NA
NA
0
0
0
0
55
27
54
23
6
1
11
0
18
32
2
44
55
-
6
1
LC (-)
189
43
43
65.4
3
0
2
1
4
LC (+)
29
12
54
50.8
-
4
1
1
5
†
†
1 (HCC)
7
Yuen
LC (±)
92 (NA)
0
48.8
51.1
NA
14
LC (±)
49 (17)
0
50
19.6
1
LC (-)
167
0
51
61.1
0
LC (+)
67
0
52.5
74.1
-
0
2
0
2
LC (-)
245
0
47.8
NA
NA
0
4
0
4
LC (±)
298 (NA)
0
49.6
36.4
NA
5
7 (6)
NA
12
Ahn
34
Arese
15
Chu
26
Yuen
2 (HCC)
0
5 (NA)
0
5
5 (4)
0
6
0
0
0
†
*Coinfection of HCV or/ and HDV, Event occur only in patients with HCC.
NA, not available; LC, liver cirrhosis;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NA, not available; FU, follow-up.
병진행률은 65.4개월간에 3%(5/167)였으며, 간경
환자들을 나이, 성별 등을 대응시켜 혈청 sAg이
변군에서는 50.8개월간의 질병진행률이 17%(5/29)
소실된 군과 지속된 군 간에 예후를 비교하였다.
였다. 하지만 HCV 또는 HDV와 중복감염을 보인
그 결과 sAg 소실군은 아무런 합병증이 없었으나
환자들을 제외하면 간경변이 없었던 군에서는 단
(0/146), sAg이 지속된 대조군은 5명이 간경변, 한
한 명도 간경변 및 간경변의 합병증, 간암이 발생
명이 간암으로 진행하여 4%(5/146)의 질병진행률
하지 않았고 다만 간경변군 2명(12%)에서 비대상
을 나타내었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4
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Arase 등 도 상당히 많은
29
또한 Yuen 등25의 다른 연구에 의하면 혈청 sAg이
만성 B형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Chen 등 과 유사
소실된 환자군에서는 질병진행률이 간암 발생 5예
한 연구를 시행하여, 혈청 sAg 소실 당시 간경변
를 포함하여 51.1개월 동안 5.4%(7/92), 비소실군
이 없었던 환자들에서는 61.1개월간의 추적기간 중
에서는 간암 발생 8예를 포함하여 11.9%(10/92)였
간경변, 간경변의 합병증, 간암이 발생하지 않았던
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이들
반면(0/167), 간경변을 동반했던 환자들에서는 74.1
은 간암 발생 유무에 따라 혈청 sAg 소실 시의 나
개월간의 추적기간 중 2.9%(2/67)에서 간암이 발
이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므로(63.2세 vs. 47.9세),
생하여 10년 누적 간암발생률이 5.5%에 이른다고
혈청 sAg 소실 시의 나이는 이후 간암 발생의 주
보고하였다. 따라서 혈청 sAg 소실 당시 간경변증
요한 예측인자라고 보고하였다.
의 동반 유무에 따라 예후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
며, sAg이 소실된 B형간염 환자의 예후는 중복감
혈청 HBsAg 소실 유무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
염이 없다면 매우 양호한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렇다면 혈청 sAg이 소실된 만성 B형간염 환
이번 Yuen 등26의 연구에서는 분석되지 않았지
자는 sAg이 지속되는 환자들보다 얼마나 예후가
만 기존의 일부 연구에 의하면 혈청 HBsAg 소실
양호할까? Chen 등은 중복감염과 간경변이 없는
유무에 따라 사망률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된다(Da
- 387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15. No. 3. 2009
13
40
Silva 등 의 연구에서 18.2% vs. 0%; Fattovich
높으며, 간경변으로의 진행이 빠르면서,
등16의 연구에서 20% vs. 3%). 하지만 이 연구들은
생도 많다고 알려져 있다.41 또한 혈청 sAg 소실도
간암 발
나이, 성별, 간질환 정도, sAg 소실 후의 추적기간
유전자형 C에서 B보다 적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
등을 보정하지 않은 채 사망률을 비교하였고, 또한
어, 국내 환자에서의 혈청 sAg 소실의 의미와 그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의 차이에 대해서는 기술
후 질병진행 정도는 외국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
하지 않고 있어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성
상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국내 보고는 드물고 대
별과 나이 등의 인자를 대응시켜 혈청 sAg이 소실
상 환자 수도 적어, 좀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
된 군과 지속된 대조군 간에 임상경과를 비교한
로 혈청 sAg 소실 후의 질병경과에 대한 연구가
Chen 등의 연구에서는 두 군 간에 생존율의 차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25
29
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혈청 sAg의
현재까지의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만성 B형간염
소실은 양호한 질병경과를 예측할 수 있는 좋은 지
환자에서 혈청 sAg 소실 후 생화학적, 조직학적,
표이며, 좋은 치료목표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혈
바이러스학적 검사 소견 및 임상경과는 대체로 양
청 sAg 소실이 질병으로부터의 완전한 해방을 의
호하지만 예상보다 많은 예에서 sAg의 소실 후에
미한다고 말할 수는 없으며, sAg 소실 후에도 간
도 간경변, 간경변의 합병증, 특히 간암으로의 진
암 발생에 대한 감시를 비롯, 정기적인 추적이 불
행이 관찰된다. 혈청 sAg이 소실된 후에도 간암이
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sAg이 소실된 환자에
발생하는 것은 HBV에 의한 암 유발 기전을 생각하
대한 적절한 관리전략의 수립을 위해서는 sAg 소
면 충분히 예상되는 결과인데, HBV는 간세포의 유
실 후의 질병경과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요구된다.
전체(genome)에 통합되어 염색체의 재배열이나
결손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암유발유전자의 발현
색인단어: 민성 B형간염, HBsAg 소실, 간세포암종
을 촉진하거나 암억제유전자의 발현을 저하시킬
37
수 있으며,
이러한 유전체로의 통합은 혈청 sAg
참고문헌
소실보다 훨씬 이전에 일어나기 때문이다. sAg 소
실 시의 나이, 즉 얼마나 오랜 기간 HBV에 노출되
어 왔는가가 간암 발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보고들은 이를 뒷받침한다.25,26 따라서 McMahon
등7은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는 혈청 sAg 소실이
일어난 후에도 정기적인 간암 감시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으며, 저자와38 Yuen 등의25,26 연구 결과
를 보더라도 적어도 45세 이후에 sAg의 소실을 보
인 환자에서는 정기적인 간암 감시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국내 연구에 의하면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혈
청 sAg의 소실률은 0.4~0.5%이고, sAg 소실 후에
도 간암은 6.2~10.2%에서 발생한다고 보고하고
있으며,14,38,39 이는 동양의 여러 연구와 유사한 수
준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HBV는 거의 대
부분 유전자형이 C형이며, C형 HBV는 B형에 비
해 HBeAg의 혈청전환이 늦고, 간염의 활성도도
1. Lok AS, McMahon BJ. Chronic hepatitis B. Hepatology
2007;45:507-539.
2. Liaw YF. Natural history of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nd long-term outcome under treatment. Liver
Int 2009;29(Suppl 1):100-107.
3. Yim HJ, Lok AS. Natural history of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what we knew in 1981 and what we know
in 2005. Hepatology 2006;43(Suppl 1):S173-S181.
4. Rehermann B, Ferrari C, Pasquinelli C, Chisari FV. The
hepatitis B virus persists for decades after patients'
recovery from acute viral hepatitis despite active maintenance of a cytotoxic t-lymphocyte response. Nat Med
1996;2:1104-1108.
5. Yuki N, Nagaoka T, Yamashiro M, Mochizuki K, Kaneko
A, Yamamoto K, et al. Long-term histologic and virologic
outcomes of acute self-limited hepatitis B. Hepatology
2003;37:1172-1179.
6. Blackberg J, Kidd-Ljunggren K. Occult hepatitis B virus
after acute self-limited infection persisting for 30 years
without sequence variation. J Hepatol 2000;33:992-997.
7. McMahon BJ. Chronic carriers of hepatitis B virus who
clea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re they really "off the
hook"? Hepatology 1998;28:265-267.
- 388 -
Ji Hoon Kim. Clinical outcomes and develop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HBsAg seroclearance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8.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 E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J Hepatol 2009;50:227-242.
9. Bertoletti A, Ferrari C, Fiaccadori F, Penna A, Margolskee
R, Schlicht HJ, et al. HLA class I-restricted human
cytotoxic T cells recognize endogenously synthesized
hepatitis B virus nucleocapsid antigen. Proc Natl Acad Sci
USA 1991;88:10445-10449.
10. Missale G, Redeker A, Person J, Fowler P, Guilhot S,
Schlicht HJ, et al. HLA-A31-and HLA-Aw68-restricted
cytotoxic T cell responses to a single hepatitis B virus
nucleocapsid epitope during acute viral hepatitis. J Exp
Med 1993;177:751-762.
11. Penna A, Artini M, Cavalli A, Levrero M, Bertoletti A, Pilli
M, et al. Long-lasting memory T cell responses following
self-limited acute hepatitis B. J Clin Invest 1996;98:11851194.
12. Rehermann B, Fowler P, Sidney J, Person J, Redeker A,
Brown M, et al. The cytotoxic T lymphocyte response to
multiple hepatitis B virus polymerase epitopes during and
after acute viral hepatitis. J Exp Med 1995;181:1047-1058.
13. Da Silva LC, Madruga CL, Carrilho FJ, Pinho JR,
Saez-Alquezar A, Santos C, et al. Spontaneous hepatitis B
surface antigen clearance in a long-term follow-up study
of patients with chronic type B hepatitis. Lack of
correlation with hepatitis C and D virus superinfection. J
Gastroenterol 1996;31:696-701.
14. Ahn SH, Park YN, Park JY, Chang HY, Lee JM, Shin JE,
et al. Long-term clinical and histolog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spontaneous hepatitis B surface antigen
seroclearance. J Hepatol 2005;42:188-194.
15. Chu CM, Liaw YF. HBsAg seroclearance in asymptomatic
carriers of high endemic areas: appreciably high rate
during a long-term follow-up. Hepatology 2007;45:11871192.
16. Fattovich G, Giustina G, Sanchez-Tapias J, Quero C, Mas
A, Olivotto PG, et al. Delayed clearance of serum HBsAg
in compensated cirrhosis B: relation to interferon alpha
therapy and disease prognosis. European Concerted Action
on Viral Hepatitis (EUROHEP). Am J Gastroenterol
1998;93:896-900.
17. Huo TI, Wu JC, Lee PC, Chau GY, Lui WY, Tsay SH, et
al. Sero-clearance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in chronic
carriers does not necessarily imply a good prognosis.
Hepatology 1998;28:231-236.
18. Liaw YF, Sheen IS, Chen TJ, Chu CM, Pao CC. Incidence,
determinants and significance of delayed clearance of
serum HBSAg in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
prospective study. Hepatology 1991;13:627-631.
19. Ahmad MU, Libbey LM, Scanlan RA. Synthesis of
N1-nitroso-3-nitromethylindole: a nonvolatile N-nitroso
compound isolated from the nitrosation of the alkaloid
gramine. Food addit Contam 1987;4:45-48.
20. Alward WL, McMahon BJ, Hall DB, Heyward WL, Francis
DP, Bender TR. The long-term serological course of
asymptomatic hepatitis B virus carriers and the development of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J Infect Dis
1985;151:604-609.
21. Dragosics B, Ferenci P, Hitchman E, Denk H. Long-term
follow-up study of asymptomatic HBsAg-positive voluntary blood donors in Austria: a clinical and histologic
evaluation of 242 cases. Hepatology 1987;7:302-306.
22. Sampliner RE, Hamilton FA, Iseri OA, Tabor E, Boitnott J.
The liver histology and frequency of clearance of the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in chronic carriers.
Am J Med Sci 1979;277:17-22.
23. Viola LA, Barrison IG, Coleman JC, Paradinas FJ, Fluker
JL, Evans BA, et al. Natural history of liver disease in
chronic hepatitis B surface antigen carriers. Survey of 100
patients from Great Britain. Lancet 1981;2:1156-1159
24. Wu TT, Hsu HC, Chen DS, Sheu JC, Su IJ, Chen SL et al.
Clearance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after
surgical resec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J Hepatol
1987;4:45-51.
25. Yuen MF, Wong DK, Sablon E, Tse E, Ng IO, Yuan HJ,
et al. HBsAg seroclearance in chronic hepatitis B in the
Chinese: virological, histological, and clinical aspects.
Hepatology 2004;39:1694-1701.
26. Yuen MF, Wong DK, Fung J, Ip P, But D, Hung I, et al.
HBsAg Seroclearance in chronic hepatitis B in Asian
patients: replicative level and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Gastroenterology 2008;135:1192-1199.
27. Chu CM, Liaw YF. HBsAg seroclearance in Asian
patients: too high and too bad in Hong Kong. Gastroenterology 2009;136:1459-1460.
28. Sattler M, Walz C, Crowley BJ, Lengfelder E, Janne PA,
Rogers AM, et al. A sensitive high-throughput method to
detect activating mutations of Jak2 in peripheral-blood
samples. Blood 2006;107:1237-1238.
29. Chen YC, Sheen IS, Chu CM, Liaw YF. Prognosis
following spontaneous HBsAg seroclearance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ith or without concurrent infection.
Gastroenterology 2002;123:1084-1089.
30. Evans AA, Fine M, London WT. Spontaneous seroconversion in hepatitis B e antigen-positive chronic
hepatitis B: implications for interferon therapy. J Infect Dis
1997;176:845-850.
31. Korenman J, Baker B, Waggoner J, Everhart JE, Di
Bisceglie AM, Hoofnagle JH. Long-term remission of
chronic hepatitis B after alpha-interferon therapy. Ann
Intern Med 1991;114:629-634.
32. Marcellin P, Heathcote EJ, Buti M, Gane E, de Man RA,
Krastev Z, et al.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versus
adefovir dipivoxil for chronic hepatitis B. N Engl J Med
2008;359:2442-2455.
33. Prati D, Taioli E, Zanella A, Della Torre E, Butelli S, Del
Vecchio E, et al. Updated definitions of healthy ranges for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Ann Intern Med
2002;137:1-10.
34. Arase Y, Ikeda K, Suzuki F, Suzuki Y, Saitoh S,
Kobayashi M, et al. Long-term outcome afte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seroclear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m J Med 2006;119:71 e9-e16.
35. Komori M, Yuki N, Nagaoka T, Yamashiro M, Mochizuki
- 389 -
대한간학회지 제 15 권 제 3 호 2009
K, Kaneko A, et al. Long-term clinical impact of occult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J
Hepatol 2001;35:798-804.
36. Adachi H, Kaneko S, Matsushita E, Inagaki Y, Unoura M,
Kobayashi K. Clearance of HBsAg in seve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Hepatology 1992;16:1334-1337.
37. Tabor E. Tumor suppressor genes, growth factor genes,
and oncogenes in hepatitis B virus-associ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J Med Virol 1994;42:357-365.
38. Kim JH, Yeon IL, Lee HJ, Lee YS, Jung YK, Kim J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incid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time of HBsAg seroclearance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ith HBsAg seroclearance [Abstact].
Korean J Hepatol 2009;15(Suppl 3):S228.
39. Nam SW, Jung JJ, Bae SH, Choi JY, Yoon SK, Cho SH,
et al. Clinical outcomes of delayed clearance of serum
HBsAg in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Korean J
Inter Med 2007;22:73-76.
40. Chu CJ, Hussain M, Lok AS. Hepatitis B virus genotype B
is associated with earlier HBeAg seroconversion compared
with hepatitis B virus genotype C. Gastroenterology 2002;
122:1756-1762.
41. Sumi H, Yokosuka O, Seki N, Arai M, Imazeki F, Kurihara
T, et al. Influence of hepatitis b virus genotypes on the
progression of chronic type B liver disease. Hepatology
2003;37:19-26.
- 390 -